본문 바로가기
교재 실습/자바 웹 개발 워크북

127. 스프링 IoC 컨테이너 사용 준비 (4)

by Jint 2022. 10. 10.

5. 실습 프로젝트 정리

Gradle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기본 예제 파일도 함께 만들어지는데 이 예제 파일을 제거한다. 또한 프로젝트 속성 정보를 보면 프로젝트의 컴파일러 버전도 1.5로 되어 있는데 이것을 1.7로 변경한다.

(교재에서 사용하는 방식인 2014년도와 현재 실습하는 2022년도의 설정하는데 차이가 있어서 교재와 다른 방법으로 하였다. 다른 방법은 교재 방법 이후 소개한다. 다만 정확하지 않을 수 있어서 실습을 해나가면서 수정할 수 있다.)

프로젝트의 src 폴더에서 예제 파일을 삭제한다(그림 1).

그림 1 (예제 파일 삭제)

프로젝트 속성창을 열고 'Java Compiler' 노드를 선택한다. 프로젝트를 컴파일 할 때 사용할 컴파일러 정보가 오른쪽 화면에 출력된다. 내용을 살펴보면 'Enable project specific settings' 항목이 기본으로 선택되어 있다. 이 항목이 선택되어 있으면 프로젝트를 위한 컴파일러 정보를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 항목의 선택을 해제한다. 워크스페이스에 설정된 컴파일러 정보를 이용할 것이다(그림 2).

그림 2 (프로젝트 속성 설정 창)

 

6. Gradle 빌드

이제 Gradle 빌드를 수행하여 웹 프로젝트 관련 파일을 생성한다.

여기서 교재의 방법을 따르지 않고 다른 방법을 통해 Gradle 빌드를 수행했다.

참고링크 : https://geonoo.tistory.com/15

 

Eclipse+Gradle+Spring 웹 프로젝트 만들기! (이클립스, 그래들, 스프링) - [Web Project] 1편

(매번 환경설정 할 때마다 헷갈리는 경우가 많아 정리하려고 한다.) STS를 이용하는 방식과 조금 다릅니다. 이점 참고 ^0^ ( 최대한 간단 설치하고, 컴팩트하게 생성하려고 했습니다. ) 이클립스에

geonoo.tistory.com

이 링크의 3번까지 진행한다. 2번의 build.gradle을 적용하지 않았다.

참고링크 : https://webfirewood.tistory.com/129

 

[Gradle, JAVA, SPRING] 웹개발에 필요한 최소한의 Gradle

Gradle은 JAVA 개발에 엄청난 도움을 주는 강력한 Build Tool이지만 생소한 groovy 문법과 설정 파일, 사용방법 때문에 오히려 신입 개발자 들을 헷갈리게 하기도 합니다. 다행인 점은 gradle 을 사용하기

webfirewood.tistory.com

이 링크의 build.gradle을 적용하였다.

이후 서버를 Tomcat v9.0 Server at localhost로 새로 만들고 여기에 web08 서버 웹 모듈을 적용했다.

 

참고도서 : https://freelec.co.kr/book/1674/

 

[열혈강의] 자바 웹 개발 워크북

[열혈강의] 자바 웹 개발 워크북

freelec.co.kr

댓글